#1 assign1.sh 파일 만들기
vi편집기를 통해 assign1.sh 이름의 파일을 만들어준다.
#2 파일 작성해주기
매직 넘버를 사용해 실행 가능한 쉘 스크립트라는 것을 나타낸다.
-1 who are you? 라고 물으면, 이름 입력받기(read 사용)
read -p 명령어를 이용해 입출력을 동시에 받는다.
사용자가 입력하는 이름은 매개변수 name에 저장한다. 이 매개변수를 매개변수1이라고 통칭하겠다.
-2 사용자 명이 같다면 (실행할 때 주는 매개변수 $1을 매개변수2라고 부르겠다.)
1) ls –l 한 결과와 컴파일 할 파일을 묻고 입력받는다.
매개변수1과 매개변수2가 동일한지 확인하기 위해 if문을 사용하였다.
동일한 경우 ls -l을 출력하고 read -p를 이용해 컴파일 할 파일을 묻고 대답한다.
2) 이때, 컴파일 하여 생긴 실행파일의 이름을 현재날짜로 바꾸어주기
//컴파일 결과 파일 이름 수정 - gcc -o 설정해줄 실행파일명 컴파일 할 파일명
컴파일 할 때 결과물인 실행파일명을 설정하지 않는다면 기본적으로 a.out 이라는 실행파일이 생성된다.
실행파일명을 지정해주기 위하려 컴파일 명령어 gcc에 옵션 -o를 쓴다. (알파벳 소문자 o임)
날짜를 출력하는 명령어 date를 사용하면 필요없는 정보가 많이 뜨므로 포맷을 추가해줘 원하는 정보만 뽑아 쓸 수 있었다. date 포맷에 관련된 설명은
https://mimzz2.tistory.com/11?category=846161
[Linux] 4주 과제 1
//쉘 스크립트 생성 vi편집기로 hello.sh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든다. 뒤에. sh는 쉘 스크립스라는 것을 나타낸다. 안 적어도 전혀 상관 없지만 내가 알아보는 용이다. vi편집기 내용이다. #!은 매직넘�
mimzz2.tistory.com
에서 볼 수 있다!
3) 사용자 명이 다르면, Permission Denied로 뜨게하기
if ~else문을 사용했다.
#실행
실행하기 전, 실행 권한을 부여해줬다.
#파일 실행 - ./파일명 매개변수
파일 실행 명령어를 사용해 매개변수가 ming인 assign1.sh파일을 실행해주었다.
Who are you?가 뜨고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커서가 뜬다. swing을 입력해줬다.
매개변수2를 ming으로 설정해줬기 때문에
매개변수1에 swing을 입력하면 if문 조건식[매개변수2=매개변수1]에 어긋나 else결과가 출력된다.
이 경우는 매개변수2와 매개변수1이 같기 때문에
ls -l결과가 출력된다.
file to cimpile : 이 뜨고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커서가 뜬다. hello.c를 입력해줬다.
hello.c는 vi편집기로 미리 작성해둔 c파일이다.
Success to compile이 출력됐기 때문에 잘 됐나 확인해보자!
ls해주자 오늘 날짜를 이름으로한 실행파일이 있다.
실행도 잘된다.
[Linux] 5주차 과제2 -계산기 스크립트 작성 (0) | 2020.06.09 |
---|---|
[Linux] 5주차 과제1 (0) | 2020.06.09 |
[Linux] 4주 과제2 (0) | 2020.06.02 |
[Linux] 4주 과제 1 (0) | 2020.06.02 |
[Linux] vi편집기 (0) | 2020.05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