밍구의 Tstory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밍구의 Tstory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공부 (141)
    • 해킹공부 (58)
      • CTF (16)
      • CodeEngn (15)
      • Dreamhack (15)
      • 웹해킹 실습 (12)
    • 프로그래밍언어 (4)
      • Python (1)
      • C++ (2)
      • 알고리즘 (1)
    • 운영체제 (12)
      • Linux (12)
    • IT 보안 (12)
      • 보안최신동향 (27)
      • 네트워크 자율주행 (3)
    • 클라우드 (11)
      • AWS (11)

검색 레이어

밍구의 Tstory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공부

  • [C++] 포인터 변수, 배열과 포인터

    2020.05.26 by 밍구21

  • [Linux] 파일권한 실습

    2020.05.19 by 밍구21

  • [Linux] chmod를 사용해 setuid권한 제거하기

    2020.05.19 by 밍구21

  • [Linux] 그룹 관리 명령어, ls 명령어, 파일 접근 권한, setuid

    2020.05.19 by 밍구21

  • [C++] 문자열 함수와 스트링 클래스 함수

    2020.04.14 by 밍구21

[C++] 포인터 변수, 배열과 포인터

//포인터 정의 포인터 변수는 포인터라고도 한다. 일반적인 변수는 데이터의 값(정수, 실수 문자 등)을 저장한다. 포인터는 데이터의 값이 저장된 변수의 메모리 주소를 저장한다. //포인트 선언 - 데이터 타입* 포인터로 선언할 변수 이름 포인트 선언에서 가장 중요한 건 *(애스터리스크)다. 각 변수 이름 앞에 *를 붙여야 한다. 다른 일반적인 변수들과 마찬가지로 포인트 변수 또한 사용되기 전에 선언이 되어야 한다. ex) +포인트 선언 시 주의할 점 다음은 두 개의 포인터를 선언한 것 같지만 실제로는 이렇게 입력한 것과 같다. 그러므로 두 개의 포인터를 선언할 때는 이렇게 각각 하자! //주소 할당- 포인터 이름 = &포인터에 주소를 할당할 변수 이름 포인터가 선언된 이후에는 포인터에 변수의 주소를 할당..

프로그래밍언어/C++ 2020. 5. 26. 17:17

[Linux] 파일권한 실습

부족한 점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. #계정 생성하기 - sudo adduser 계정명 adduser 명령어를 사용하며 apple과 swing 계정을 생성해주었다. #c언어코드를 작성 # ./a.out을 이용하여 실행하기 잘 됐다. #1-1 apple 계정으로 a.out 파일 실행 되지 않는다. 실행 권한이 없기 때문이다. 반면 swing 계정으로는 잘된다. #1-2 다른 계정은 실행 권한이 없도록 chmod 명령어를 사용하였다. 실행권한은 1,3,5,7 번이므로 모두에게 실행권한이 없는 번호인 000을 주었고 ls -l로 이를 확인하였다. #1-3 apple 계정으로 a.out 실행 역시나 실행되지 않는다. 중간에 c언어 코드 파일이 이상하다 생각하고 수정을 했습니다. 그 결과 hello world가 출..

운영체제/Linux 2020. 5. 19. 22:50

[Linux] chmod를 사용해 setuid권한 제거하기

부족한 점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. #1 ls -l 을 이용해 /usr/bin/passwd 파일의 속성을 본다. 빨간색 형광펜 표시가 되어있으므로 /usr/bin/passwd파일은 setuid권한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! #2 setuid 권한이 있는 상태로 passwd 명령어 실행 현재 번호를 입력한 뒤 비밀번호를 손 쉽게 바꿀 수 있었다. 갑자기 바꾼 비밀번호라 까먹을 뻔... #3 /usr/bin/passwd 파일에서 setuid 권한을 제거해보자! -1) 일반 사용자로 "chmod 기호(u-s) 파일명" 을 이용해 setuid 권한을 제거하기 씩씩하게 일반 사용자로 도전! 했다가 까였다. 허용이 안된다고 한다. 그도 그럴 것이 #1에서 봤다시피 /usr/bin/passwd 파일의 소유자는 r..

운영체제/Linux 2020. 5. 19. 18:58

[Linux] 그룹 관리 명령어, ls 명령어, 파일 접근 권한, setuid

부족한 점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. #그룹 관리 명령어 - groups 사용자 사용자가 포함된 그룹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. 위 사진처럼 제대로 된 사용자명을 입력하면 사용자가 포함된 그룹을 알 수 있다. #ls 명령어 디렉토리에 있는 디렉토리나 파일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. #ls 명령어 옵션 -l 더 자세한 내용을 출력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. 순서대로 "파일종류 및 파일 접근권한, 포함된 파일수, 소유자, 파일이 속한 그룹, 파일 크기, 최종 수정일, 파일 이름"이다. ls명령어로 출력했을 때와 같은 디렉토리 및 파일이 출력되지만 더 자세한 내용이 출력됐음을 알 수 있다. 위 사진에서 맨 앞부분 파일 종류 및 파일 접근권한 부분만 따온 사진이다. 맨 앞 한 글자는 파일 종류를, 뒤..

운영체제/Linux 2020. 5. 19. 18:09

[C++] 문자열 함수와 스트링 클래스 함수

string은 헤더 파일에 미리 정의된 클래스다. 따라서 string유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헤더 파일을 include 시켜야 한다. #문자 수 반환 #메모리 크기 반환 length() -문자열 내의 객체 크기(글자 수) 반환 size() - length와 동일 capacity() -객체가 사용하는 메모리 크기 반환 #인덱스의 문자 반환 1) at(index) -문자열에 지정된 인덱스의 문자를 반환 문자열에서 첫 번째 문자의 인덱스는 0이다 2) stringname[index] 구문 #문자 수정, 대체 1) stringname[index] -문자열 내의 문자를 수정할 수 있다. 이는 str[5] = '='를 사용해 인덱스 5의 위치에 있는 문자(g)를 새로운 문자(=)로 수정해 화면에 출력한 ..

프로그래밍언어/C++ 2020. 4. 14. 22:14

추가 정보

인기글

최신글

페이징

이전
1 ··· 15 16 17 18
다음
TISTORY
밍구의 Tstory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